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.
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,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
학동 삼익세라믹아파트

덤프버전 :

||
[ 펼치기 · 접기 ]

[[자치구|{{{#ffffff 자치구}}}]]
광산구남구동구북구서구




파일:학동삼익.jpg
단지 전경[1]

파일:삼익로고.jpg
명칭삼익세라믹아파트
영문 명칭Samick Ceramic Apt
종류아파트
브랜드삼익세라믹
주소광주광역시 동구 남문로 676 (학동)
입주1989년 4월
동수5개동
층수지상 15층
세대수480세대
면적95㎡, 102㎡, 148㎡, 178㎡, 208㎡
주차대수480대 (세대당 1대)
시공사삼익주택

1. 개요
2. 연혁
3. 주변 시설
3.1. 교육환경
3.2. 상가
4. 교통수단
4.1. 시내버스
4.2. 도시철도
4.3. 시외버스
5. 재건축
6. 관련 문서



1. 개요[편집]


광주광역시 동구 학동에 위치한 아파트이다.

광주천을 쭉 따라가면 있는 양동 삼익맨션, 금호 등과 함께 광주 부촌의 역사를 이끈 아파트이다. 한때는 근처의 전남대학교병원조선대학교병원 내지는 법조인들이 많이 살던 아파트로 유명했다....
하지만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다시한번 유명해졌다. 등 3개 이상의 뉴스에 출연했기에 등재 기준에 부합한다.

2. 연혁[편집]


파일:학동가네보.jpg
1930년 촬영된 종방 광주제사공장
원래 이 자리에는 일본의 대표적인 방직 회사였던 가네보가 세운 제사공장이 있었다. 지난 1930년 8월에 처음 문을 열었고 종업원이 300명이 넘는 큰 규모의 공장이었다. 학동 공장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게 되면서 이후 규모를 훨씬 키워서 국내 최대 수준으로 지은게 임동에 있는 종연방적(전남방직)이었다.

그러다가 해방 이후 정부가 공장을 몰수하였고 숭의학원에 불하하면서 이 자리에 숭의실업고등학교(현 숭의과학기술고등학교)를 세웠고 1986년에 지금의 방림동 교사로 이전하면서 부지를 삼익주택에 매각하였고 1989년에 지금의 삼익세라믹아파트가 지어졌다.

3. 주변 시설[편집]



3.1. 교육환경[편집]


초등학교는 도보 10분의 광주남초등학교로 배정된다. 남초등학교 바로 옆에는 무등중학교가 있다. 단지에서 아주 가까운 곳에 남자고등학교조선대학교부속고등학교가 있고 천변 건너편에는 여자고등학교설월여자고등학교남녀공학 특성화 고등학교인 동일미래과학고등학교가 있다.


3.2. 상가[편집]


학동 상권 중심지와 가깝다. 원도심인 만큼 상권이 매우 풍부하다. 다이소[2], 안경점, 학원, 독서실, 슈퍼, 병원, 볼링장, 사우나, 카페, CU, 이마트24, 명랑시대쌀핫도그, 롯데리아, 봉구스밥버거 등이 있다. 메가커피이디야커피, 맘스터치도 최근에 생겼다.


4. 교통수단[편집]



4.1. 시내버스[편집]




4.2. 도시철도[편집]


도보 3분 거리에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학동증심사입구역이 위치해 있다. 역세권 아파트이다.


4.3. 시외버스[편집]


두 시외버스 정류소 사이 중간 지점에 있다. 소태역이 살짝 더 가까운 편.

5. 재건축[편집]


파일:학동쌍용조감도.jpg
일부 주민들이 일반 재건축이 어렵다고 판단하자, 2020년부터 지역주택조합 방식으로 바로 옆 평화맨션과 통합해서 학동센트럴시티라는 이름으로 920세대의 신축 대단지아파트를 조성하려고 추진 중이다. 하지만 반대가 심해 사업이 성공할지는 의문이다[3]

시공사로는 쌍용건설과 MOU를 맺은 상태이다.

6. 관련 문서[편집]




파일:CC-white.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-12-25 09:08:10에 나무위키 학동 삼익세라믹아파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.


[1] 뒤에 무등산 아이파크의 골조가 완성되고 기본도색이 된 걸 보아 2016년 즈음에 촬영된 사진으로 추정된다.[2] 기존에 있던 건물이 2020년 경 철거되면서 사라짐[3] 반대가 심할 수 밖에 없는게, 재건축 계획상 33평이 가장 많고 45평이 100세대 남짓으로 지어지는데 현재 학동삼익의 경우 40평 이상되는 집이 180세대가 있고 그중에 45평보다 큰 53평, 61평이 절반이다. 재건축을 하면 오히려 집이 작아지게 되고 그렇다고 거의 공짜로 집을 지어주는 것도 아니라 대형평형 거주자들을 중심으로 반대가 극심하고 매매 시세가 계속해서 올라가는 탓에 보상가에 대한 불만도 많은 상황.